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없이 자녀 테마 만드는 방법

워드프레스에서 자녀 테마(Child Theme)를 만드는 방법은 처음이 어렵지 구성을 이해하면 쉽다.
먼저 요약하자면 이렇게만 하면 된다.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서버의 폴더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 3개의 파일만 넣으면 끝.
이게 끝이다. 아주 간단하다.
그 방법을 하나씩 배워보자.

먼저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각자가 다 어떤 서버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나는 클라우드웨이즈 서버를 이용하고 있어서
이걸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

클라우드웨이즈에 로그인을 하고 설치된 워드프레스를 클릭한다.
왼쪽에 Application Mannagement 가 나오는데
그 아래에 있는 Access Details를 클릭하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들이 보인다.
오른쪽의 Application Credentials를 보면
Public IP, Username, Password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처음엔 Public IP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공백으로 되어 있다.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ADD를 클릭하면 된다.
우리는 Public IP, Username, Password 이렇게 3가지 정보만 알아두면 된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ftp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는 폴더와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ftp프로그램을 지원해주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ftp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
제일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파일질라’라는 프로그램인데
윈도우용, 맥용 모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나는 이거 말고 맥용으로 나온 ForkLift3를 사용했다.
어떤 ftp프로그램을 써도 상관이 없다.
자녀테마를 만들기 위해서는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폴더 하나 만들고 파일 3개 복사해서 수정하는 일만 하면 된다.
그 뒤로 ftp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꺼다.
굳이 유료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이 보이는데
이 프로그램으로 서버에 접속해줘야 한다.
프로그램 위의 별 아이콘 옆에 있는 ‘번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왼쪽에 Connect창이 열리고 아까 위에서 클라우드웨이즈에 로그인해서 입력하고 저장했던
서버 주소와 이름, 암호를 입력하면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파일을 볼 수 있게 된다.
Protocol은 기본이 SFTP다. 이거 그대로 쓰면 된다.

이제 public_html 폴더로 들어간다.

새폴더 만들기: wp-content/themes 폴더에 새로운 폴더를 하나 만들면 되는데, 이 폴더가 자녀 테마의 폴더가 되는거다.
그리고 그 폴더 안에 style.css 파일 하나와 function.php 파일 하나만 있으면 된다.
각 파일은 기존의 부모 테마에 있는 파일을 복사하고 드레그 해서 새로만든 자녀 폴더에 넣어서 그 파일을 수정하거나
메모장이나 편집프로그램에서 위의 파일 이름으로 2개의 파일을 만들고 그 파일을 업로드 하면 된다.

  1. style.css 파일 생성: 자녀 테마 폴더에 style.css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 안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자녀 테마 이름, 부모 테마 폴더 이름을 입력하면 끝
   /*
   Theme Name: 자녀 테마 이름
   Template: 부모 테마 폴더 이름
   */

Theme Name은 자녀 테마의 이름이고, Template은 부모 테마의 폴더 이름이다.

  1. functions.php 파일 생성: 자녀 테마 폴더에 functions.php 파일을 생성하고, 부모 테마의 style.css를 불러오는 코드를 추가한다
    이건 그냥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 넣기하면 된다. 따로 수정할 필요가 없다.
   <?php
   function my_theme_enqueue_styles() {
       $parent_style = 'parent-style';
       wp_enqueue_style( $parent_style, get_template_directory_uri() . '/style.css' );
       wp_enqueue_style( 'child-style',
           get_stylesheet_directory_uri() . '/style.css',
           array( $parent_style ),
           wp_get_theme()->get('Version')
       );
   }
   add_action( 'wp_enqueue_scripts', 'my_theme_enqueue_styles' );
   ?>

  1. screenshot.png 파일 복사: 부모 테마의 screenshot.png 파일을 자녀 테마 폴더로 복사한다.
    이건 워드프레스 테마 설정하는 페이지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를 넣는거다.
    만약 이 이미지가 없으면 공백으로 표시되고 어떤 테마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서 넣는거다.
    부모테마와 같은 이미지를 사용하면 자녀테마인지 확실히 아니까 같은 이미지로 쓰는게 좋다.
  2. 테마 활성화: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자녀 테마를 활성화하면 끝.

이 방법 외에도, Child Theme Configurator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더 쉽게 자녀 테마를 생성할 수 있지만,
한번 자녀테마의 구성을 알아두면 굳이 플러인을 설치해야 워드프레스를 무겁게 만들 필요는 없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